티스토리 뷰

태양계

태양계 행성 수성 머큐리 알아보기

유용한 리뷰어 2022. 9. 26. 15:26
반응형

1. 맨눈으로 관측이 어려운 수성

탐사선인 메신저호가 관측한 수성의 모습입니다.
메신저호가 관측한 수성입니다. 출처: 나무위키

태양계에서의 첫번째 행성인 수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이라서 태양 옆에 붙어 있어서 관측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맨눈으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저도 밤하늘에서 금성은 자주 봤지만, 수성은 한번도 볼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수성은 금성처럼 달과 같이 위상이 변합니다. 그리고 표면의 모습도 달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리고 수성은 금성과 마찬가지로 위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태양계의 행성은 수성과 금성 뿐입니다.

 

2. 수성의 대기 및 중력

수성에는 대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매우 가벼운 가스층이 있습니다. 대기의 구성성분은 수소, 헬륨,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원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수성의 중력은 지구의 37.7%밖에 안될 정도로 약하다고 합니다. 

 

3. 수성의 온도와 수성에서 발견된 물

수성표면의 평균온도는 약 179도 이지만, 온도 변화는 약 -183도~427도로 온도 변화가 매우 큽니다. 1992년 수성의 북극부분에서 물과 얼음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얼음은 혜성의 충돌이나 수성 내부에서 방출되어 생긴 물이 1년동안 태양광이 닿지 않는 극지방의 크레이터 바닥에 남겨져 있던 것이라고 추측한다고 합니다. 수성은 물이 있지만 온도변화가 매우 커서 생명체가 살만한 행성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4. 수성의 지형

수성의 지형은 달과 비슷합니다. 관측 결과 수성에는 달보다 구덩이가 적다고 합니다. 달과 수성이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고, 충돌한 운석의 비율이 비슷하다고 가정한다면, 수성의 표면은 재형성 되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합니다. 이는 수성이 달보다 크고 태양에 더 가까우므로 형성 후 서서히 냉각되었다는 것과 일치한다고 합니다. 서서히 냉각하면서 용암이 표면으로 올라와 오래된 구덩이 지역을 덮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수성은 태양의 조석력에 의하여 적도부분이 불룩하다고 합니다.

 

5. 수성의 크기 및 질량

수성은 태양계의 행성들 중에 크기가 가장 작습니다. 지구와도 비교하였을때 상당히 작은 행성으로, 총 질량이 지구의 5%정도이지만, 밀도는 지구의 98%정도로 거의 같다고 합니다.

 

6. 수성의 관측 및 탐사

수성은 실시 등급 -1.9등급으로 시리우스의 1.4배 밝기이지만, 태양과 워낙 가까워서 일출 혹은 일몰 때만 잠깐 볼 수 있어서 실제로 수성을 관측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수성을 보려면 개기일식 때가 가장 좋지만, 개기일식 때도 보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수성을 보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4개월에 한 번 있는 수성의 동방 최대이각을 전후로 한 며칠동안에, 서쪽 하늘이 트인 곳에서 해질녁에 서쪽 하늘을 보면 된다고 합니다. 완전히 깜감해지기 전에 봐야 보기가 쉽습니다. 수성은 매우 밝아서 깜감해지기 전이라도 육안으로도 충분히 보인다고 합니다.

 

수성의 탐사는 무인 우주 탐사선을 보내기도 매우 어려워서 탐사하기가 힘든 행성이라고 합니다. 발사체의 추력만으로 수성에 도달하는것부터가 초고난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수성의 착륙은 더 어렵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수성까지 간 우주선을 감속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매리너 10호는 수성을 공전하는 위성 궤도에 진입한 것이 아니라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에 진입했다고 합니다. 이 궤도에 진입한 상태로 우주선이 수성에 최대로 가까워질 때마다 수성을 관측하였다고 합니다. 

그이후로 메신저 탐사선이 최초로 수성을 공전하는 궤도에 안착하였다고 합니다. 궤도에 안착하는데 걸린 기간이 무려 7년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 정도로 수성의 탐사는 어렵다고 합니다. 오히려 지구와 더욱 멀리 떨어진 목성을 탐사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7. 수성의 신화

고대 그리스인은 수성을 그리스 로마신화의 신인 헤르메스에 대응시켰습니다. 이유는 가장 안쪽에 있는 행성으로 운행이 빠르기 때문에 발이 빠른 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헤르메스는 고대 로마에서 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 되어 영어로 머큐리(Mercury)가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