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서론

이전 포스팅에서 개기월식과 천왕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개기월식만 11월 8일에 진행하는 줄 알았는데 무려 천왕성 엄폐도 같이 진행된다고 하니 엄청난 천문 행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저는 사실 천왕성 엄폐라는 이야기도 처음 들어 봤습니다만 두 가지 천문현상을 같이 볼 수 있다는 사실에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2.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는 언제 볼 수 있나?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를 관측할 수 있는 시각이 나타나 있습니다. 출처: 사이언스올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 관측가능한 시각이 있는 사진입니다. 출처: 사이언스올

2022년 11월 8일 17시 19분에 달이 뜨는 월출이 시작되고 18시 9분에는 부분식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19시 16분 개기식이 시작되고 19시 59분에 개기식은 최대가 되고 20시 42분에 개기식은 종료가 됩니다. 그리고 21시 49분에 부분식의 종료가 있습니다. 따라서 개기월식은 19시 10분부터 20시 42분 중에 보면 되고 너무 오래 기다릴 수 없다 생각되면 개기식의 최대 시각인 19시 59분에 보면 됩니다.

2-1. 집 안에서 보고 싶은데 생중계는 없는 건가?

우선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유튜브로 온라인 생중계를 해주니 집에서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국립 과천과학관을 검색하고 11월 8일 19시부터 21시 40분까지 생중계로 보고 이벤트로 과천과학관 페이스북에 당일 촬영한 달 사진을 댓글로 남기면 좋아요가 가장 많은 10명에게 모바일 커피 쿠폰을 증정한다고 하니 많은 분들이 참여를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각 지역의 과학관에서 천문 이벤트로 유튜브로 생중계를 하는 곳도 많으니 인근 주소지의 과학관을 검색하시어 유튜브 생중계로 보시거나 대면 관측이 가능한 곳은 대면으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2. 천문대로 직접 가서 관측할 수는 없을까?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11월 8일 19시부터 21시 40분까지 대면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장소는 천문대 및 천체투영관 일대에서 관측 가능하고 인원 제한은 없다고 합니다. 게다가 참가비까지 무료라고 합니다. 과천 근처에 사시는 분들은 아이와 함께 관측을 하면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습니다. 관측대상으로는 개기월식, 천왕성 엄폐, 목성, 토성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독자분들 자택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천문대나 과학관에서 행사를 진행할 수도 있으니 사전에 검색하시고 가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3. 집 밖에서 직접 관측은 가능할까?

물론 개기월식은 집 밖에서 시야가 탁 트이는 곳 달이 보이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관측이 가능합니다. 다만 천왕성은 맨눈으로 잘 보이지 않고 초보자분들은 잘 찾기 어렵고 보인다 한들 그게 천왕성이라는 게 와닿지 않아서 천왕성의 엄폐는 맨눈으로 관측이 어려울 듯합니다. 그래도 20시 23분부터 천왕성의 엄폐가 시작된다고 하니 달 근처에 있던 별 하나가 갑자기 보이지 않게 되면 아 저게 천왕성이 보였다가 달에 가려서 없어지면 이게 천왕성 엄폐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3. 개기월식은 무엇인가?

이전 포스팅에서 개기월식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어 보았기 때문에 오늘은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개기월식이란 초저녁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개기월식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달이 태양 빛을 받지 못하여 평소와 달리 붉은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천왕성 엄폐란 무엇인가?

우선 천왕성은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으로 고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청록색을 띠고 있는 행성입니다. 엄폐현상이란 달과 시직경이 큰 천체 뒤로 상대적으로 작은 천체가 자취를 완전히 감추는 것을 말합니다. 이 천왕성에서 엄폐 현상이 11월 8일에 나타난다고 합니다. 천왕성이 달에 의해 엄폐되는 현상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런데 11월 8일에 개기월식과 천왕성의 엄폐 현상이 같은 날에 일어난다니 엄청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글을 마치며 이번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를 주변 과학관이나 천문대에서 관측을 하거나 시야가 넓게 트인 곳에서 가족들 혹은 연인과 함께 하면 좋은 추억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관측 시에는 밤에 날씨가 쌀쌀하니 두꺼운 외투를 챙겨서 관측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